워드프레스는 기본적으로 동적 컨텐츠 관리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우리 블로그에 방문할때마다 서버는 PHP 코드를 실행하고 DB를 긁어와 실시간으로 HTML 페이지를 생성해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사용자가 페이지를 열어볼 때마다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서버에 부담이 쌓이고 블로그의 속도도 느려지게 된다.
캐시 플러그인은 이런 서버의 부담을 줄여주는 도구다. 동적으로 생성된 페이지를 정적인 HTML 파일로 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다른 방문자가 방문하면 이미 만들어진 HTML파일로 페이지를 표시해준다.
덕북에 PHP 코드를 실행하고 DB를 긁어오는 페이지 생성 과정을 생략되어 서버의 부담이 줄고, 이미 만들어진 HTML을 화면에 뿌려줌으로써 훨씬 빠른 페이지 로딩 속도를 보여준다.
블로그의 속도 개선은 SEO뿐만 아니라 방문자의 체류시간과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모바일 검색의 비중이 높은 지금은 블로그 속도 최적화는 중요하다.
캐시 플러그인 무슨 일을 하나?
페이지 캐싱
페이지 캐싱은 위에서 이야기한 캐시 플러그인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기능이다.
사용자의 요청으로 한번 생성된 페이지를 HTML 파일로 서버에 저장해두고, 이후 같은 페이지에 대한 요청이 오면 저장되있던 HTML 파일을 그대로 제공한다.
페이지 생성을 위한 PHP 코드 실행과 DB 쿼리가 생략되어 서버 자원 소모가 최소화 되고, 이미 만들어진 HTML을 그대로 전달만 하기때문에 페이지가 열리는 속도도 크게 올려준다.
브라우져 캐싱
이미 생성되어 있는 HTML 파일을 전달하더라도, CSS, JS, 이미지 파일등은 별도로 전송할 수 밖에 없다.
캐시 플러그인은 페이지 구성을 위한 이런 부수적인 파일들을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일정시간 보관하도록 해 재방문시 다시 다운로드되지 않도록 한다.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종종 지우게 되는 그 캐시를 말하는 것이 맞다.
부수적인 파일들이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보관되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페이지 로딩이 빨라서 좋고, 블로그를 운영하는 우리 입장에서는 내보낼 트래픽이 줄어서 좋다.
Gzip 압축
서버가 전송하는 HTML, CSS, JS 파일등을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 데이터의 용량을 줄여주는 기능이다.
파일 용량이 줄어드니 페이지 로딩 속도 개선에 도움이 되고, 내보낼 트래픽도 줄일 수 있다.
HTML / CSS / JS 최적화
각각의 파일에서 공백이나 주석, 불필요한 코드를 제거해주는 기능이다. Gzip 압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의 용량을 줄여주는 기능이다.
그외 캐시 플러그인 기능
그외에도 CDN 연동이나 캐시 자동 삭제, 캐시 프리로드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무료로 쓸만한 대표적인 캐시 플러그인
WP Fastest Cache

장점
- 설정이 쉽다.
- 페이지 캐시, 브라우저 캐시, Gzip, HTML/CSS/JS 최적화 기능 제공
- 가벼워서 낮은 사양의 서버에서도 부담이 적다.
- 안정성이 높다.
단점
- 무료버전은 HTML, CSS, JS 결합(Combine)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 모바일/데스크탑 별도 캐시는 유료에서 가능.
- 캐시 프리로드도 유료기능
꼭 필요한 기능을 쉽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서버를 다루는데 서툰 나같은 사람에게 추천할 만한다.
LiteSpeed Cache

장점
- 다른 플러그인에 비해 무료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페이지 캐시, 브라우저 캐시, Gzip, HTML/CSS/JS 최적화 기능 기본 제공
- 이미지 최적화(webp 변환) 기능
- 캐시 프리로드, 데스크탑 / 모바일 분리 캐시 제공
- LiteSpeed 서버 환경에서는 이상적인 성능 제공
단점
- LiteSpeed 서버 환경이 필요함
- 초보자 입장에서는 설정을 한번에 이해하기 어려움
W3 Total Cache

장점
- 아주 세밀한 설정이 가능함
- 무료 버전에서도 거의 모든 캐시 관련 기능 지원 (DB 캐시, 오브젝트 캐시 등)
- CDN 연동 기능도 우수함(해외 대상인 경우 유리)
단점
- 나 같은 사람은 설정이 복잡할 수 있음
어떤 캐시 플러그인을 선택하면 될까?
어느 한 쪽이 좋다 나쁘다로 결정하기에 적당한 문제는 아니다. 각자의 상황과 서버 관련 지식의 정도에 따라 선택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세가지 모두 설치해본 내 입장에서 추천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 기본 기능이 충실하고 쉬운 설정이 원한다면 WP Fastest Cache
- 무료로 좀 더 다양한 기능과 최상의 성능을 원한다면 LiteSpeed Cache
- 서버 관련 지식이 있고 세부적인 튜닝을 원한다면 W3 Total Cache
다만, LiteSpeed Cache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NGINX + Apache가 아닌 LiteSpeed(또는 OpenLiteSpeed) 서버에서 제 기능을 발휘한다.
물론 Cyberpanel을 사용하면 OpenLiteSpeed 환경을 구성할 수 있지만, NGINX + Apache 환경보다 기본적으로는 조금 더 많은 서버 자원을 필요로 한다.
캐시 플러그인 반드시 설치할 것
내 경우 1 shared CPU, 2GB 메모리에 ubuntu 22.04 + NGINX + Apache 로 서버를 구성했고 WP Fastest Cache를 설치해 큰 불편없이 이용 중이다.
하라는 포스팅은 안하고 이것저것 건드려보는데 흥미를 더 느껴 여러 가지의 캐시 플러그인들을 설치해봤지만,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처음 시작할 때 설치했던 WP Fastest Cache가 그냥 익숙하고 편해서 사용 중이다.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처음 만들었을땐 캐시 플러그인의 의미를 몰라 설치만 해뒀었는데, 한참 후 각각의 내용들을 이해한 뒤에야 필요한 부분들을 설정했다.
플러그인 하나로 별차이가 있나 싶었는데 블로그에 접속했을때 생각보다 체감 성능에 큰 차이가 있어 사실 조금 놀랐다.
워드프레스로 블로그를 운영중이라면 캐시 플러그인은 무조건 설치하길 추천한다.